본 과목은 통신 엔지니어를 위한 정보이론의 기초를 소개한다. 과목에서 다루게 될 주요한 주제들은 1) 정보 및 소스의 측도, 2) 데이터 압축, 3) 채널 용량 및 오류 정정 부호, 4) 전송율 왜곡 이론 등이다.
권장과목
본 과목은 통신 엔지니어를 위한 정보이론의 기초를 소개한다. 과목에서 다루게 될 주요한 주제들은 1) 정보 및 소스의 측도, 2) 데이터 압축, 3) 채널 용량 및 오류 정정 부호, 4) 전송율 왜곡 이론 등이다.
본 강의에서는 기계학습의 기본 원리와 응용분야를 모델링과 예측; 학습문제 그리고 신호를 요약한다는 관점에서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generalization, over-fitting, regularization, deep learning, regression, classification, clustering, recommendation problems, probabilistic modeling, reinforcement learning, 내용을 다룬다.
타학과 선수과목 : CS101 프로그래밍기초
선수과목
본 과목에서는 전자파 및 안테나의 개념 및 이론을 다룬다. 여러 가지 전송선 및 이의 응용을 강의하고 아울러 도파관의 기본을 강의 한다. 또한, 안테나와 이의 응용을 다루어서 전자파의 전파 및 무선 통신의 기본을 강의 한다.
선수과목
현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RF 전단부에서 사용하는 회로, 부품, 시스템의 설계 및 해석에 필요한 기본 이론을 습득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실습한다.
본 과목은 다이나믹 시스템의 분석과 디자인 방법을 다룬다. 주요 내용으로는 제어시스템의 서론,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 궤환제어시스템의 특성, 궤환제어시스템의 성능, 선형궤환시스템의 안정성, 근궤적 기법, 주파수 응답 기법, 주파수영역에서의 안정성, 제어시스템의 시간영역 해석, 궤환 제어시스템의 설계와 보상 등이다.
선수과목
자기회로 및 전력변환기기, 전기-기계적 에너지 변환 원리, 회전기기의 기본원리, solid-state 모터제어 및 과도 특성 동작 등을 배우고 전동기의 산업 응용에 따른 가동, 가속, 감속, 제동 등의 제특성에 대하여 취급한다.
선수과목
전자공학의 여러 분야의 기술 동향과 미래 사회의 수요를 미리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진로를 기획하고 미래의 변화에 대비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수과목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
Copyright ⓒ 2015 KAIST Electr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PRESSC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