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2026봄학기 대학원 신입 생랩배정 안내문
Notice

2026학년도 봄학기 석사과정/전문석사과정/박통합과정 랩배정 안내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석사과정/석∙박통합과정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026학년도 봄학기 석사과정/전문석사과정/석∙박통합과정 신입생의 랩배정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 아 래 =

1. 랩 배정 기간: 2025. 9. 18.(금) – 10. 15.(수) 17:00까지

학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교수진, 실험실, 연구분야 등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습득

(학부 홈페이지 : (http://ee.presscat.kr/)

 

2. 국비 T/O 현황: 홈페이지 국비석사TO  국비석사 TO

 

3.KAIST장학생 및 일반장학생 배정

홈페이지 전임교수 현황, 정년후 TO 현황참조하시어 자유롭게 면담 (교수님 T/O 제한없음)

* 정년후교수님께도 지원은 가능하나, 이 경우는 TO가 제한적이므로 교수님과 확인할 것

 

4. 산학프로그램 장학생

 각 산학프로그램 홈페이지의 현재 참여교수님을 확인하여 지도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 EPSS 홈페이지: http://epss.kaist.ac.kr/

 – KEPSI 홈페이지: http://kepsi.kaist.ac.kr

 – EPSD 홈페이지: https://epsd.kaist.ac.kr/

* 정년후교수님께도 지원 가능하나, TO가 제한적이므로 교수님과 확인할 것

 

5. 연구실 배정 방법

원하는 교수님과 면담 후 서로 동의한 경우 첨부의 양식에 서명을 받아 지도예정교수님 참조하여 이메일 제출

 

6. 제출서류: 2025. 10. 15(수)까지

(1) 연구실 확정이 된 경우 : “[첨부1] 신입생 연구실 배정 확정서” 제출

(2) 연구실 확정이 안 된 경우 : “[첨부2] 지도교수 배정 신청서” 제출

 

7. 랩배정 결과 발표: 10월 17일(금) 17시 이후, 학부 홈페이지 공지사항

 

8. 담당자:  송영주(042-350-3402, dudwn@kaist.ac.kr / 전기및전자공학부 사무실(E3-2, 1212호실 )

기술경영 360
Notice

기술경영750

[CEO 세미나] 9/17(수)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회장 – AI 세상에서의 반도체

KAIST 기술경영학부는 각 분야를 대표하는 전문가를 초청하여 기업가 정신을 고취하고, 글로벌 비즈니스 현장의 생생한 경험을 공유하는 CEO 세미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2025 가을학기 세 번째 세미나에서는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회장님을 모시고 강연을 개최합니다. 교수님, 학생 및 직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강연 정보

  • 일시: 9월 17일 (수) 오후 4시
  • 장소: N22 103호
  • 연사: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회장
  • 주제: AI 세상에서의 반도체

 

■ 연사 소개

황철주 회장님은 1995년 주성엔지니어링을 창업하여 지금까지 대표이사 회장으로 회사를 이끌고 계십니다. 주성엔지니어링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제조장비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기술기업으로, 특히 증착공정(CVD, ALD 등)과 같은 반도체 핵심 장비를 국산화하며 독자적 기술력을 확보하였습니다.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장비를 다수 개발하며 SK하이닉스, 중국 최대 DRAM 제조사 CXMT 등 국내외 주요 기업들과 거래하고 있고, 코스닥 상장사로서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성엔지니어링은 현재 시가총액 약 1조 3,000억 원대로 평가되며, 2024년에는 매출 4천억원대, 순이익 1천억원대의 실적을 올려 AI 시대의 새로운 수요 속에서 다시 한 번 큰 성장의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황철주 회장님은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일운과학기술재단 이사장으로 활동하며 벤처 생태계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해 오셨습니다. 2019년에는 매경 이코노미 대한민국 100대 CEO, 2011년 대한민국 기술대상 금탑산업훈장, 2006년 대한민국 반도체기술대상 대통령상 등을 수상하시며 국내 기술 벤처를 대표하는 리더로서 널리 인정받아 오셨습니다.

김정호 교수님 360
Award
김정호 교수님 750
<김정호 교수>

우리 학부 김정호 교수가 ‘2025년 제7회 한양백남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양백남상은 한양대학교 설립자인 백남(白南) 김연준 박사의 정신을 계승·발전하기 위해 제정한 상으로, 수상자들에게 총 1억 5,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한양백남상 공학상을 수상하는 김정호 교수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AI 반도체의 핵심 기술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기본 개념과 구조를 창안하고 설계를 통해 정립한 주역이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견인했으며,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 석학으로 평가받는다. 

 

김 교수는 ‘차세대 HBM Roadmap(HBM4~HBM8)’을 제시하며 2038년까지의 기술 비전을 이끌고, 국제 표준화 주도 및 기술 주도권 확보에도 기여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HBM 기술 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제8회 강대원상(회로·시스템 분야)을 수상했다. 또한 30여 년간 HBM 관련 국제저널 및 학회지에 712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34회의 최고 논문상을 수상했으며, 석·박사 제자 115명을 배출해 국내 반도체 고급 인력 양성에도 크게 이바지했다. 구글, 엔비디아, 애플, 테슬라 등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하며 국제 기술 교류 증진에도 앞장서 왔다.

국 2025 FALL 콜로키움 포스터v.6
Notice

2025 FALL 콜로키움 포스터v.6

2025학년도 가을학기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콜로퀴움이 9월 11일(목)부터 시작됩니다. 이번 학기 콜로퀴움에는 산·학·연·관의 국내외 리더 및 석학을 초청하여 다양한 강연을 준비하였습니다.
 
특히,
  • Remzi Arpaci-Dusseau 교수님 (위스콘신대학교 컴퓨터과학과)
    Operating Systems: Three Easy Pieces 공동저자 (운영체제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교재)
  • Kathleen A. Kramer 교수님 (미국 샌디에이고대학교 전기공학과, IEEE 2025 회장 겸 CEO)

 

또한, IITP 최성호 Project Manager(PM) 님의 네트워크 분야 국가 R&D 정책방향 강연과, 전자공학자 출신 지휘자로 잘 알려진 영남대학교 백윤학 교수님의 “공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음악과 과학의 아름다움” 강연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본 콜로퀴움은 전기및전자공학부의 새로 임용된 교수진 강연과 더불어, 국제적으로 명망 있는 연사들을 초청하여 학생과 교원 모두에게 폭넓은 학문적 경험과 교류의 장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KAIST EE 학생 및 교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일시: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 장소: KAIST E3-1 (정보전자공학동) 1층 제1공동세미나실
자세한 일정은  포스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재웅 교수님 360 1
News
정재웅 교수님 500
<정재웅 교수>

우리 학부 정재웅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선정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최근 3년간 독보적인 연구개발성과를 창출하여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 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정재웅 교수는 ‘세계 환자안전의 날(9월 17일)’을 앞두고체온에의해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바늘을 개발해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는 등신체착용(웨어러블) · 체내삽입 (임플랜터블) 전자 소자 및 의료기기 융복합 연구로건강 돌봄(헬스케어) 혁신에 기여한공로로 선정됐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치료방법으로 신속한 약물 효과와지속적인 약물 투여가 가능해 의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다만, 기존 정맥주사 바늘은 딱딱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돼 혈관벽 등을 손상하거나 정맥염과 같은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고, 주사바늘 처리 과정에서도 의료 종사자의 찔림 사고 및 그에 따른 질병 감염 위험 우려가 있다. 

 

정재웅 교수는액체금속 갈륨이 체온에 반응해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상온에서 딱딱한 상태이다가 체내에 삽입되면 생체 조직처럼 부드러워지는 가변강성*주사바늘을 개발했다. *가변강성(可變剛性) :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강성의 크기(딱딱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성

 

가변강성주사바늘은 환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함은 물론 사용 후상온에서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여 의료 종사자의 바늘 찔림 사고를 예방하고, 비윤리적인 주사바늘 재사용 문제도 원천 차단한다.

 

이미지1
< 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바늘>

 

더불어, 정재웅 교수는 정맥주사 중 약물이 유출되면 주위 조직의 온도가낮아지는 현상에도 주목했다. 정재웅 교수는 정맥 주사바늘에 나노박막온도 감지기 (온도센서)를 탑재해 국부 체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기능을 구현하여정맥 주사 약물 누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세계보건기구가 요구하는 환자 건강증진 및 의료진 안전도모에 새로운 전망(비전)을 제시한 이번연구성과는 ’24년 8월 국제 학술지‘네이처 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의 표지논문으로 출판됐다.

 

정재웅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의 딱딱한 의료용 바늘로 인한 문제를극복하고, 주사바늘 찔림 사고나 재사용으로 인한 감염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라며“앞으로 가변강성 주사바늘 기술이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의료 현장의 핵심 기술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성영철 교수님 연구실 360
News
성영철 교수님 연구실 900
<(왼쪽부터) 김정혜 박사과정, 이소정 석사과정, 성영철 교수>

2022년 말 OpenAI의 ChatGPT의 출현과 더불어 생성형 거대언어모델 (Large Language Models-LLM)은 인공지능의 핵심 연구 분야 중에 하나이다. 

 

현재 거대언어모델은 단지 프롬프트로 주어진 언어를 이해하고 그에 맞은 해답을 제시하는 것을 넘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Multi-Round 행동, 관측 및 추론 과정을 거치며 주어진 태스크를 수행하는 LLM 에이전트(Agent)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Agentic AI는 앞으로 인간의 간섭없이 인공지능 스스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주어진 태스크를 실행해야 하는 수많은 현실적인 문제에 있어 핵심적인 발전방향이다. 

 

예를 들어, 가사도우미 로봇에게 인간이 “된장찌개 끓이기”라는 태스크를 수행시켰을 때 로봇 스스로 필요한 재료를 모두 찾고 그것을 손질하고, 냄비에 넣고 가스레인지 위에 올려서, 불을 켜서 끓이고, 요리가 완성되면 불을 꺼야하는 것이다. 이 하나하나의 과정을 인간이 일일이 지시할 수 없고, 로봇 스스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행동하고, 그 결과를 관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하고 다음 행동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대표적 LLM Agent 모델이 2023년 Google Brain과 프린스턴대에서 발표한 ReAct 이다. ReAct 는 미래 plan을 고려하면서 각 단계에서의 행동을 결정하는 모델이다. 하지만, ReAct는 때로는 실제 상황과 동떨어진 인지(Hallucination)를 하고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은 한계점을 가진다.

 

성영철 교수 연구실 김정혜 (박사과정), 이소정 (석사과정) 학생은 서울대 정교민 교수 연구실과 공동연구로 이러한 ReAct Agent의 단점을 극복하는 ReflAct라는 새로운 LLM Agent 모델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ReflAct는 매 순간 최종 목표와 현재 상황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최적의 행동을 결정하는 구조로서, Hallucination 가능성을 현저히 줄이고, 뿐만 아니라 Agent 스스로 자신의 잘못된 판단까지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ReflAct가 최신 추론 언어모델과 결합되었을 때 가사도우미 환경인 ALFWorld Benchmark에서 93.3% 라는 놀라운 태스크 성공률을 달성하였다. 이 결과는 가사도우미 뿐만 아니라 과학 탐사, 전투 현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Agent AI의 발전을 한층 촉진시킬 것이다. 이 결과는 자연어처리 최대학회 중 하나인 EMNLP 2025의 Main Conference에서 오는 11월 발표될 예정이다. 

 

관련논문 링크: https://arxiv.org/pdf/2505.15182

김재홍 박사 360
News
김재홍 박사 600
<김재홍 박사>

우리 학부 졸업생 김재홍 박사(지도교수: 한동수 교수)가 2025년 9월 1일부로 인하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인공지능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김재홍 박사는 2024년 8월 KAIST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박사과정 동안 AI 기반 비디오 스트리밍, 몰입형 미디어, 네트워크 시스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특히 신경망 기반 비디오 품질 향상, 3D 라이브 스트리밍, 5G 네트워크 최적화 등의 연구에 집중했습니다. 학위과정 중 SIGCOMM, CoNEXT (Best Paper Finalist), OSDI, EuroSys 등 최고 수준의 국제 학술대회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현재는 Carnegie Mellon University 컴퓨터과학과에서 한국연구재단(NRF) 해외우수신진연구자지원사업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며, 3D Gaussian Splatting 압축 및 전송, 몰입형 미디어를 위한 AI 기반 비디오 전달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 금상(통신·네트워크 부문 1위), 2021년 KAIST Breakthrough of the Year 선정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많은 축하와 격려 부탁드립니다.

김재홍 교수 홈페이지: https://jaykim305.github.io/

이상민 박사 360
News
이상민 박사 500
<이상민 박사>

우리 학부에서 2023년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상민 박사가 2025년 9월부로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습니다.

이상민 박사는 박사 학위 취득 후,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UIUC)와 조지아 공과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멀티모달 학습(Multimodal Learning)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멀티모달 기술을 바탕으로 인간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소셜 AI(Social AI)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컴퓨터 비전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CVPR 에 이와 관련된 최신 연구 논문 다수를 연이어 발표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 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 학부 출신 인재의 성과에 축하를 보내며,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합니다.

공지사항

MORE

세미나 및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