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KAIST EE

2025 봄학기 입학 신입생(석사과정, 석박통합과정,전문석사과정) 랩배정 결과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수험번호 학생명 지도교수님
110030 김O한 장민석 교수님
110033 박O호 권경하 교수님
110040 이O국 한동수 교수님
110045 김O우 김훈 교수님
110046 성O연 황의종 교수님
110048 정O헌 김주영 교수님
110049 이O호 유재민 교수님
110070 김O현 최진석 교수님
110080 박O 장동의 교수님
110082 윤O석 유경식 교수님
110083 김O현 유종원 교수님
110100 박O규 김봉진 교수님
110104 신O현 강준혁 교수님
110108 박O훈 홍성철 교수님
110111 양O수 정완영 교수님
110112 김O현 최진석 교수님
110118 최O민 한수진 교수님
110145 박O섭 정완영 교수님
110154 김O욱 윤준보 교수님
110160 송O우 안희진 교수님
110168 정O훈 김봉진 교수님
110174 김O웅 김현식 교수님
110194 마O창 유경식 교수님
110197 배O나 김준모 교수님
110205 김O수 조병진교수님
110228 유O석 원유집교수님
110233 홍O혁 이시현교수님
110241 이O태 최준일교수님
110248 전O원 이시현교수님
110257 황O준 심현철교수님
110285 조O희 김성민교수님
110288 공O이 명현교수님
110313 김O진 유승협교수님
110337 유O한 신민철교수님
110365 김O진 신영수교수님
110371 정O민 김현식교수님
110383 김O별 장민석교수님
110392 박O은 이현주교수님
110404 이O준 조성환교수님
110406 송O백 김상식교수님
110412 이O민 심현철교수님
110428 박O민 전상훈교수님
110436 박O태 이안오클리교수님
110452 김O성 유종원교수님
110464 이O준 유경식교수님
110470 정O라 최진석교수님
110472 박O준 제민규교수님
110477 김O우 이성주교수님
110484 조O찬 윤찬현교수님
110486 변O진 김봉진교수님
110513 지O채 노용만교수님
110531 이O혁 김상현교수님
110551 윤O문 이시현교수님
110564 배O균 제민규교수님
110565 김O호 최양규교수님
110567 노O성 김준모교수님
110569 김O희 제민규교수님
110581 김O호 유승협교수님
110583 정O근 김동준교수님
110584 김O진 류승탁교수님
110590 김O석 신민철교수님
110591 조O근 한동수교수님
110607 전O민 조성환교수님
110614 조O훈 최준일교수님
110617 김O우 김훈 교수님
110636 최O원 한수진교수님
110657 공O 유재민교수님
110666 최O민 정준선교수님
110671 김O은 배준우교수님
110675 이O돈 장동의교수님
110708 김O준 배준우교수님
110716 정O윤 유회준교수님
110722 문O영 백재일교수님
110729 정O철 정명수교수님
110736 박O용 김주영교수님
110753 이O희 최준일교수님
110757 김O표 류승탁교수님
110762 조O원 김동준교수님
110772 임O우 유창동교수님
110774 배O운 유재민교수님
110791 김O찬 한동수교수님
110792 류O종 문재균교수님
110823 이O선 최경철교수님
110837 김O모 유경식교수님
110846 정O호 장동의교수님
110848 신O빈 이정용교수님
110859 원O일 노용만교수님
110869 박O서 조병진교수님
110872 김O원 전상훈교수님
110914 나O민 김봉진교수님
110923 최O재 김준모교수님
110925 이O준 최정우교수님
110939 김O호 노용만교수님
110953 양O정 김주영교수님
110959 함O찬 안희진교수님
111024 양O규 한수진교수님
111038 곽O혁 전상훈교수님
111042 민O하 김주영교수님
111045 이O용 전상훈교수님
111049 박O우 박성욱교수님
111082 문O석 박인철교수님
111098 김O재 배현민교수님
111101 이O준 제민규교수님
111106 문O현 홍성철교수님
111111 이O정 김주영교수님
111124 이O민 최경철교수님
111138 천O범 최성율교수님
111142 김O경 유창동교수님
111146 신O욱 이정용교수님
111156 정O교 한수진교수님
111158 기O준 김준모교수님
111203 이O아 유민수교수님
111213 박O훈 정명수교수님
111214 김O환 최정우교수님
111224 송O원 윤준보교수님
111233 최O영 황의종교수님
111253 유O두 김현식교수님
111278 최O빈 유창동교수님
111279 이O혁 명현교수님
111286 임O영 정명수 교수님
111287 최O원 강준혁교수님
111293 신O헌 김봉진교수님
111305 성O우 김봉진교수님
111328 오O석 신민철교수님
111351 엄O연 김현식교수님
111354 천O민 전상훈교수님
111356 김O상 권경하교수님
111435 강O수 백재일교수님
111462 이O은 박인철교수님
111497 정O선 권경하교수님
111507 문O제 이가영교수님
111536 고O수 장민석교수님
111560 강O기 원유집교수님
111581 조O영 김대식교수님
111597 김O준 함자쿠르트교수님
111612 나O준 이가영교수님
111680 최O완 명현교수님
210017 김O수 박성욱교수님
210086 이O섭 김상식교수님
210109 김O원 최신현교수님
210140 권O만 이상국교수님
210167 박O연 류승탁교수님
210208 장O연 전상훈교수님
210222 김O재 박현철교수님
210258 안O현 박인철교수님
210313 정O완 노용만교수님
210315 이O찬 한수진교수님
210348 우O서 하정석교수님
210497 오O준 김동준교수님
210504 허O영 한수진교수님
610003 박O제 유민수교수님
610004 이O현 전상훈교수님
610005 신O호 전상훈교수님
610007 박O진 최성율교수님
610008 권O 장동의교수님
610009 김O호 김창익교수님
images 000083 photo1.jpg 4

images 000083 photo1.jpg 4

 < (왼쪽부터)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영남 박사과정, 이상국 교수, 권경하 교수 >

 

전기차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배터리 상태 진단이 필수적이다. 우리 연구진이 소량의 전류만을 사용해 높은 정밀도로 배터리의 상태를 진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배터리의 장기적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학부 권경하 교수와 이상국 교수 연구팀이 전기차 대용량 배터리의 안정성과 성능 향상에 활용할 수 있는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이하 EIS)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EIS 기술은 배터리의 임피던스* 크기와 변화를 측정해 배터리 효율과 손실을 평가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of-charge; SOC) 및 건강 상태(state-of-health; SOH)를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로 여겨진다. 또한 배터리의 열적 특성과 화학적/물리적 변화, 수명 예측, 고장의 원인을 식별하는 데 활용 가능하다.  * 배터리 임피던스: 배터리 내부에서 전류 흐름에 저항하는 요소로, 이를 통해 배터리 의 성능과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그러나 기존 EIS 장비는 비용 및 복잡성이 높아 설치, 운영 및 유지 보수가 쉽지 않다. 또한, 감도 및 정밀도 제약으로 수 암페어(A)의 전류 교란을 배터리에 인가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에 큰 전기적 스트레스가 가해지기 때문에 배터리의 고장이나 화재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활용이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의 상태 진단 및 건강 모니터링을 위한 소전류 EIS 시스템을 개발하고 입증했다. 이 EIS 시스템은 낮은 (10mA) 전류 교란으로,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시 발생하는 열적 영향 및 안전 문제를 최소화한다. 

 

추가로 부피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드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해 차량 내 탑재가 용이한 설계다. 해당 시스템은 전기차 배터리의 여러 운영 조건(다양한 온도 및 배터리 잔존용량을 나타내는 SOC 레벨에서 배터리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이 입증됐다.

 

images 000083 image1.jpg 2

< 그림 1. 전기차 배터리 임피던스 측정을 통한 상태 진단 및 사고 방지 흐름도 >

 

권경하 교수(교신저자)는 “이 시스템은 전기차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에 쉽게 통합 가능하며, 기존의 고전류 EIS 방식 대비 비용과 복잡성을 현저히 낮추면서도 높은 측정 정밀도를 입증했다ˮ면서 “전기차 뿐만 아니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배터리 진단 및 성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ˮ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동 분야 상위 2%; IF 7.5)’에 지난 9월 5일 발표됐다.

 

(논문명 : Small-Perturbatio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System With High Accuracy for High-Capacity Batteries in Electric Vehicles, 링크: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10666864

 

images 000083 image2.jpg 2

 그림 2. 전기차용 대용량 배터리의 임피던스 측정 결과 >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의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사업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 뉴스

KBS: KAIST “소량 전류로 전기차 배터리 정밀 진단 가능”

ChosunBiz: 전기차 화재 예측할 배터리 진단 기술 나왔다  등 다수

241007 th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 연구팀, 서울대와 공동으로 카이랄 나노입자를 이용한 새로운 가시광 통신 암호화 기술 개발

241008 main1

<(좌측부터) 최준일 교수, 한건호 석박통합과정, 서울대 한정현 박사과정, 지아웨이 류 박사, 남기태 교수>

 

최근 높은 주파수와 직진성을 가지며 많은 인프라에 구축된 조명 장치에 이용되는 가시광에 기반한 차세대 통신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가시광 통신은 보안성과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신호 누설로 인한 도청 가능성이 존재하여 암호화 기술 개발은 필수적이다. 기존에 카이랄 나노입자의 카이랄 광학 특성을 가시광 통신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없었으나, 공동 연구팀은 편광과 카이랄 광학 특성의 상호작용을 통해 암호화 성능이 증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 것이다.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준일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카이랄 나노 입자의 카이랄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보안 성능을 향상시킨 가시광 통신 기술을 개발했다.

 

공동 연구팀은 가시광 통신 도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정당한 수신자만 보유하는 카이랄 나노입자의 카이랄 광학 특성에 최적화된 편광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규명했다.

241008 main2

<그림 1. 본 연구에서 개발한 카이랄 나노입자를 이용한 신개념의 편광 기반 가시광 통신 암호화 시스템의 개념도>

 

공동 연구팀은 카이랄 나노입자를 통과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카이랄 광학 특성 중 하나인 좌우원편광 흡수율 차이에 의해 새로운 차등 채널 (differential channel)이 발생함을 유도하였고, 차등 채널을 통과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암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고했다.

 

또한 정당한 수신자와 도청자의 비트 에러 오류율을 비교하여 복제 및 탈취가 불가능한 가시광 통신의 암호화 성능이 증대함을 보고했고, 카이랄 광학 특성에 편광 상태를 최적화하여 가시광 통신의 보안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최준일 교수는 “재료공학과 전기공학 전공자의 공동 연구로 이런 훌륭한 연구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나노입자 기반의 가시광 통신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통신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전기및전자공학부 한건호 석박통합과정, 서울대학교 한정현 박사과정, 서울대학교 지아웨이 류 박사후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최고 권위 다학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9월호에 출판됐다. (논문명: Spatiotemporally modulated full-polarized light emission for multiplexed optical encryption) 한편 이번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섬네일 2

안녕하세요

전기및전자공학부 EE Co-op프로그램 17기 (2025년 봄학기) 모집을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아    래 =

 

1. 접수기간 : 2024년 10월 4일(금) ~ 2024년 10월 16일(수) 까지

 

2. 제출서류 : 

    – 2025년도 봄학기  EE Co-op 17기 신청서(첨부양식 참조) 

    – 성적표 (2024.10월 발급 기준) 

 

3. 제출방법 :

    – 이메일로 신청서와 성적표 제출 (학부행정팀 강명주 T. 8585,  kkmj20@kaist.ac.kr)

      – 신청시에는 첨부의 17기 안내자료를 잘 숙지한 후, 신청서 제출 진행

 

[2025학년도 봄학기 EE Co-op프로그램 17기 운영 정보] 

 

1) 지원 가능 대상 : 전기및전자공학부 주전공인 3~4학년 학생 (이수학점 69학점 이상)

  *현장실습 학기 중 졸업이 불가하므로 졸업학기인 경우 참여 불가함.  현장실습 종료후 1학기 이상 재학해야 함.

   *미휴학파견 2회 이상 완료한 경우 참여 불가함.

   *주전공이 전기및전자공학부인 경우에 한해 참여 신청 가능함. (연차초과자의 경우 재학년한 내 지원 가능함)

   *현장실습학기는 재학학기로 인정되며, 지원자의 재학학기에 따라 수업료 등의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납입의무는 지원자에게 있음

     *International students can not participate in this program because of full-time working visa issues

 

2) 2025 봄학기 EE Co-op프로그램 업무 수행 기간 : 2025년 2월 24일(월) ~ 2025년 8월 22일(금)

3) 17기 참여기업 리스트 및 진행일정, 학점인정 사항 등 : 첨부의 17기 참여기업 예상 업무 정보 및 17기 안내자료 참고

 

첨부 1. EE Co-op프로그램 소개자료(학생용)

첨부 2. EE Co-op프로그램 17기 안내자료(학생용)

첨부 3. 17기 참여기업 예상 업무 정보

첨부 4. 17기 EE Co-op프로그램 신청서

2024 LAB FAIR 웹게시용 1

2024 전기및전자공학부 LAB FAIR

 

2024 전기및전자공학부 LAB FAIR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많은 참석 바랍니다.

 

o 일 시 : 2024년 10월 2일(수) 오전 10시

o 장 소 : KI빌딩 퓨전홀 및 로비

o 지도교수 TO현황 확인

   1)국비 석사 TO 현황:  국비석사 TO 현황 링크

   2)KAIST 장학생 TO(정년후 교수임용): KAIST 장학생 TO현황(정년후 교수 임용) 링크

o 첨부의 서류를 반드시 다운로드하여 랩배정 관련한 안내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풋살1등

2024년 9월 전기및전자공학부 제2회 대학원 풋살대회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대학원 학생행사기획단에서 직접 기획한 행사로, 이번 대회 총 16팀이 참여하였고 “김상식, 정준선 교수님 “연구실 연합팀(주장 : 이형근)이 우승을 차지하였습니다.
대회에 많은 관심 가져주신 대학원생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있을 전기및전자공학부 대학원생 행사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포스터

풋살1등

풋살2등

풋살3등

섬네일 1

안녕하세요,

전기및전자공학부 EE Externship프로그램 7기 (2024년 겨울학기) 모집을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접수기간 : 2024년 9월 30일(월) ~ 2024년 10월 11일(금) 까지

 

2. 제출 서류 및 제출 방법 : 

    – EE Externship 7기 신청서(첨부 참조), 신청서 내 지원회사 우선순위 3순위까지 기재 필요

    – 성적표 (제출시점 기준 1달 이내 발급 기준) 

    – 제출 방법: 신청서 및 성적표를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kkmj20@kaist.ac.kr)

 

[2024학년도 겨울학기 EE Externship 프로그램 7기 운영 정보] 

 

1. 지원 가능 대상 : 전기및전자공학부 3학년 이상 학생 (이수학점 69학점 이상), 2025년도 전기및전자공학부 봄학기 석사 신입생

 

2. 7기 참여기업 리스트

모라이, 배럴아이, 북엔드, 알파카네트웍스, 잇다반도체, 코넥티브, 하이퍼엑셀 ( 총 7개 기업)

  상세내용은 첨부의 Externship_기업소개자료 참고

 

3. 추후 일정(상세 일정은 추후 변동될 수 있음. 담당자가 개별 안내 예정)

 – 10/21(월)  ~ 10/25(금) 중 하루: 1차 오리엔테이션 진행(추후 안내)

 – 11/4(월) ~ 11/15(금): 기업 면접 진행

 – 11/20 (수, 예정): 학생-기업 매칭 결과 공유

 – 2024/12/23(월) ~ 2025/02/21(금): 기업에 파견되어 업무 수행(약 9주) 

 

4. 기타 프로그램 상세 내용 및 참여기업 소개 자료는 첨부파일 참고

 

5.  문의처: 전기및전자공학부 행정팀 강명주(kkmj20@kaist.ac.kr, 042-350-8585)

썸네일 5

전기및전자공학부 배현민 교수 연구실 이지민 석사과정,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 학회(fNIRS 2024) Poster Excellence Award 수상

Inline image 2024 09 27 10.48.45.675

<(왼쪽부터) 이지민 석사과정, 유성권 박사과정, 고범준 박사과정, Liang Yuqing 석사졸업생 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배현민 교수 연구실의 이지민 석사과정 학생이 9월 11일부터 9월 15일, 영국 버밍엄 대학교에서 개최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 학회(fNIRS 2024)에서 Poster Excellence Award를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한 fNIRS는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학술대회이며, 뇌를 포함한 생체 조직의 기능적 특성을 이해하려는 기초 및 임상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학회입니다. 
 
수상한 연구 포스터의 제목은 “Fiber-less speckle contrast optical spectroscopy system using a multi-hole aperture method”이며, 이지민 석사과정, 유성권 박사과정, 고범준 박사과정, Liang Yuqing 석사졸업생이 참여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fNIRS 2024 Program Committee에 의해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Poster Excellence Award를 수여받았습니다.
 
이는 Scientific Excellence Awards중 하나로, 발표된 350개의 포스터 중 석/박사과정, 박사 후 펠로우를 대상으로 포스터나 프리젠테이션을 훌륭하게 수행한 참여자에게 수여하는 상입니다. 
 
 
Inline image 2024 09 27 10.45.16.005
      <상장 사진>

공지사항

MORE

세미나 및 행사